1. Gradle 환경설정 및 실행 2. InteliJ 단축키 3. 초보 개발자가 알면 좋을 정보들 |
1. Gradle 실행
spring gradle 프로젝트를 cli 환경에서 생성 및 실행하는 방법
- 프로젝트 생성
1. 생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빈 폴더 생성(ex> mkdir gradle)
2. gradle init
3. 타입 설정
-> 프로젝트 타입 : application
-> 언어 : java
-> 멀티 프로젝트 구성 여부 : no
-> script dsl은 어떤 것? : Groovy
-> 테스트 : Junit Jupiter
-> 패키지 이름 설정 : com.programmers.java
정상적으로 생성한 후 tree 명령어를 이용해 전체 프로젝트의 계층구조를 볼 수 있다.
tree.com //a //f
- 프로젝트 실행
gradle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명령어 목록
- gradle init : 프로젝트 생성
- gradle tasks : 테스트 목록 확인
- gradle build : 빌드
- gradle run : 실행
vscode를 사용하면 조금 더 편하게 gradle명령어 목록을 확인하고 실행할 수 있다.
extension에서 Gradle Tasks를 설치하고 프로젝트를 열면 명령어 목록들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2. InteliJ 단축키
- 빠른 수정 : alt + enter
- 마우스 커서 위치 폴더창으로 변경 : alt + 1
- 새 파일 추가 : alt + insert
- 파일 전체 검색 : shift 두번 클릭
- ctrl+w, ctrl+shift+w : 단계별 블록 지정
- 주석 : ctrl + /, ctrl + shift + /
- 코드 리포맷팅 : ctrl+ alt + L
- refactor 단축키 : ctrl + shitf + alt + T
- 액션 검색 : shift + ctrl + a
이외에 외워야되는 단축키들...
3. 초보 개발자가 알면 좋을 정보들
1) 코딩 규칙 지키기
- 클래스 : 첫글자는 대문자로, 언더바 쓰지 않기
- 메소드 : 첫 글자는 소문자로, 언더바 쓰지 않기
- 변수 : 첫글자는 소문자로, 언더바 쓰지 않기
- 들여쓰기할 때 탭과 space를 혼용해서 사용하지 말기
2) reference
- Java의 포인터와 같은 존재
3) Constant Pool에 대해서
- String 변수에서 .equals()를 이용해 값 비교를 하는 이유
4) Object에 대해서
- 모든 객체의 최상위 객체
- 모든 객체에서 Object의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으므로, Object의 메서드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
5) Git 사용
- 자바 환경설정 하는 법
https://coicoding.tistory.com/15
자바 환경설정 - JDK 버전 바꾸기
Java를 공부하면서 eclipse, vscode, sts와 같은 툴을 사용해봤는데, 짧은 기간에 많은 툴을 써본 만큼 환경설정하면서 많은 오류들이 발생했었어요. sts를 새로 설치하고나서 코테공부를 위해 vscode를
coicoding.tistory.com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10809 (0) | 2021.08.10 |
---|---|
[TIL] 210806 (0) | 2021.08.09 |
[TIL] 210805 (0) | 2021.08.06 |
[TIL] 210804 (0) | 2021.08.05 |
[TIL] 210803 (0) | 2021.08.05 |